우리나라 국민들의 은퇴 준비상황은 어떤지 아십니까? 정부부처와 국내외 보험사들이 내놓은 결과물하나 같이 낙제점 수준이라고 내놨습니다.

60 세 이상 노년층의 빈곤율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최고 수준임을 감안할 때 향후 노년층 부양 비용이 사회기반 시스템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가 올해 초 국민연금관리공단 내방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 "노후 준비를 어느 정도 하고 있다"는 40~50대 응답자는 45% 수준에 그쳤다. 노후 준비가 재무 쪽에 편향돼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생활자금에 치중한 나머지 사회참여, 대인관계 준비와 관련된 문항에 긍정적인 답변은 30% 중반 대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재무 분야에 대해 만족스러운 준비를 하고 있다는 대답도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한 것일 뿐"이라며 "원만한 노후를 즐기려면 사적연금 가입을 늘리는 등 보다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은퇴준비 상위 10% 집단과 비교해 볼 때 일반 국민의 일과 재무 영역의 준비 상황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은퇴가 임박한 60대 이상(56.0점)과 베이비붐 세대(56.7점)의 준비도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서도 비은퇴자의 은퇴전망지수는 104.6점으로 향후 은퇴생활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은퇴전망지수기준점을 100을 넘을 경우 은퇴생활이 좋아질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특히 20대는 115.9점으로 가장 높았다.

젊은 세대일수록 '해피 실버'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한 것이다. 하지만 은퇴자의 현재 생활을 근거로 한 전망지수는 97.9점으로 앞으로 더 나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은퇴 전 장밋빛 전망이 우울한 현실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외 국계 보험사의 전망치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메트라이프생명이 지난 2월 공개한 '메트라이프 통합은퇴준비지수(MIRRI)'에 따르면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의 점수는 100점 만점에 62.22점에 그쳤다. 이 지수는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3783명을 대상으로 재정, 건강, 심리, 사회적 관여 등 4가지 영역을 포괄해 지표화한 것이다.

영역별로는 사회적 관여(68.62점)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가운데 재정 영역은 52.2점에 불과해 은퇴 후 안정적인 삶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됐다.

재무설계전문센터에서은퇴 준비와 관련된 재무적인 포트폴리오 수립과 무료 재무설계 및 재무진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재무적인 포트폴리오 수립 및 재무설계,재무진단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른다면 관련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재무설계전문센터[링크]: 자신에 맞는 은퇴 준비를 위한 포트폴리오 수립과 무료 재무설계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