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 약세는 지난주 말 미국 고용호조로 임금 인상 압력이 커진 것으로 확인된 이후
미 국채 10년 만기물 금리가 4년 만에 최고치인 2.85%로 치솟은 상태다.
이번 주에는 영국과 호주, 뉴질랜드, 인도, 필리핀, 러시아, 브라질, 페루, 폴란드 등의 기준금리 결정이 예정돼 있는 상태인데... 장기적으로 보면 미 증시는 근본적인 강세적 배경을 갖고 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강세장 랠리가 9년으로 연장될 것으로 보고 있다.
- 미 금리 추가 상승·달러 강세땐 국내 증시 충격 지속 우려
-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8.8원 오른 1088.5원으로 마감
주가에 부담이 되는 금리 수준에 대해서는 글로벌 투자은행들 사이에서도 엇갈리는 의견들이 나오는 상황!
의견 1.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현재 2.84%로 3%마저 뛰어넘을 기세여서 강세장이 종료될 것이라는 의견
의견 2.금리는 물가 외에도 경제 성장을 반영한 지표라는 점에서 주가 조정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
'미국 증시의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정리]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미칠 영향은? (0) | 2018.03.02 |
---|---|
[상황정리]지난 9일 美 의회 예산합의와 관련된 것 (0) | 2018.03.01 |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장이 강력한 경고한 이유는? (0) | 2018.02.01 |
미국 셧다운 해소? 안심은 금물! (0) | 2018.01.29 |
[자료정리]다보스포럼에서 트럼프대통령이 발언한 "강달러" 에 대한 설명 (0) | 2018.01.26 |